sub_logo KOSACS 학회소개

정관 및 규정

학회지 편집규정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지 규정

(개정 2024년 10월)

1. 목적
복합신소재구조학회지는 복합신소재구조에 관련된 전문학술논문뿐만 아니라, 학술ㆍ기술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기 위해 학회지 기사를 게재한다.

2. 원고 주제 2.1 학술기사
복합신소재의 이론적 또는 실험적 연구성과로서 독창적이며 기술성과를 기술한 것.

2.2 회사소개, 신기술소개, 공사기사
복합신소재에 관한 소재 및 공법 관련 기술을 보유한 회사에 대한 소개, 새로운 국내외 기술, 공법 및 제품의 소개, 소재 및 공법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 것.

2.3 기타
신진연구자 소개, 연구실 탐방, 국제소식, 도서소개, 문헌기사, 해외번역기사, 국제학술대회 참가기, 현장탐방, 수필, 논단 등.

3. 원고분량
8페이지 내외(A4용지 2단 편집 기준)

4. 원고의 접수
(1)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학회지편집위원회에서 접수한다.
(2) 원고는 수시로 접수하며, 원고접수일은 원고가 학회에 도착한 날짜로 한다.

5. 원고의 작성
원고작성의 형식은 본 학회 「학회지원고 작성 규정」에 따른다.

6. 제출원고
원고는 학회지 원고 작성규정에 맞게 편집(‘한글’ 혹은 ‘MS Word’)하여 본 학회 홈페이지 업로드(upload)하거나 학회 사무국 이메일을 통해 제출한다.

7. 발행일
본 학회 학회지는 년 2회 발행을 원칙으로 하며 그 밖의 간행물은 이사회의 승인을 얻어 수시 발간할 수 있다. 학회지 발행 시기는 6월 1일과 12월 1일로 한다.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학회지 부속규정 1(학회지 원고 작성 규정)

(개정 2024년 10월)

1. 학회지 원고 작성방법
1.1 관련규정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학회지의 원고와 관련된 규정은 다음과 같다.
(1) 원고의 내용 및 제출방법은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학회지 규정」에 따른다.

1.2 학회지 원고의 구성
학회지 원고는 기사의 목적, 방법 및 독창성을 명확하게 기술하여야 한다.
학회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함을 표준으로 하며, 기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이 가능하다.
(1) 제목(국문 및 영문 병기)
(2) 저자(국문 및 영문 병기)
(3) 서론
(4) 본론
(5) 결론
(6) 참고문헌

1.3 사용글자 및 편집
(1) 학회지의 원고는 인쇄공정의 생략, 정확도 등의 효율화를 위하여 학회지 원고 제출자가 직접 편집하여 작성한다.
(2) 글자의 서체와 크기, 편집방법은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학회지 규정」에 따른다.

1.4 학회지 구성요령
1.4.1 제목
(1) 학회지 원고 제목은 간결하고, 학회지의 내용을 명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학회지 원고 제목은 국문 및 영문 모두 기재하여야 하며, 원칙적으로 국문은 30자 이내, 영문은 15단어 이내로 기재한다.
(3) 영문 제목은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하며 전치사 및 관사, 접속사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예)
21세기 건설재료로서 복합신소재구조물의 전망
Prospects of Advanced Composites Structures as Construction Materials for 21C

1.4.2 저자
학회지 원고 제목 아래에 저자명을 기재하며 저자명은 국문명을 쓰고 영문명을 기재한다. 원고 마지막에 저자사진(명함판)과 함께 근무처, 직위, 전자우편주소를 기재하도록 한다. 저자
사진
예)
홍길동(Gil-Dong, Hong), 정회원, 복합신소재 연구소 연구원, 공학박사, kosacs@hanmail.net

1.4.3 장, 절, 항의 구분
① 문장은 보기와 같이 장, 절, 항 및 소제목 등으로 구분하며, 아래에 명시되지 아니한 소제목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줄간 띄어쓰기는 장 및 절의 전후에 1행씩, 항에 있어서는 해당 제목 앞에서 1행을 띄어쓰기하며 제목 다음에는 띄어쓰기 하지 않는다. 기타 소제목에 있어서는 제목 전후 모두 띄어쓰기 하지 않는다. 예)

장 : 2. 실험개요

절 : 2.1 시험체 계획

항 : 2.1.1 사용재료
소제목 : 1) 콘크리트 재료
소제목 : (1) 혼화재

1.4.4 수식 및 기호
① 수식과 그림 및 표에 사용되는 기호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기호의 일람표를 정리하여야 한다.
② 수식은 문장이 쓰여진 행에 포함시키지 않고 별개의 행에 작성하되, 가능한 한 간단한 형식으로 통일하여 식의 전개나 유도부분을 적게 하는 대신에 문장 속에서 내용을 보충하여야 한다.
③ 기호는 최초로 기술된 장소에 기호의 정의를 문장으로 나타내어야 하며, 동일 기호로써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사용할 수 없으며, 이텔릭체를 사용한다.
④ 수식의 번호는 학회지 전반에 걸쳐 일련번호로서 작성하여야 하며, 일련번호는 수식의 우측에 기재한다. 단, 동일한 성격의 수식으로서 일련번호로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할 수 있으나, 이때 동일한 번호에 대하여 영문 알파벳으로 수식을 구분하여 기재한다.

1.4.5 외래어
① 외래어는 국문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며, 국문으로 표기함으로서 의미의 전달이 어려울 경우에는 괄호로서 외래어의 원어를 표기할 수 있다.
② 외래어의 표기는 교육부 “외래어 표기법”(2017) 및 “외래어 표기 용례집”(2005)에 따른다.
③ 문헌명, 약어는 원어로 표기할 수 있다.

1.4.6 그림(사진 포함) 및 표
① 그림 및 표의 제목 및 설명은 본문과 동일한 언어로 작성하여야 한다.
② 그림 및 표는 각 학회지 전체에 걸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야 하며, 사진은 그림으로 취급하며 그림으로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③ 그림 및 표의 크기는 1단 편집시는 행폭 15.0cm로 하며, 2단 편집시는 7.0cm를 원칙으로 한다.
④ 그림 및 표의 원도는 해상도 300DPI 이상이어야 하고, 그림의 번호와 제목(캡션)은 그림의 하단 중앙에 기재하여야 하며, 표의 번호와 제목은 표의 상단 중앙부에 기재한다.
⑤ 그림 및 표가 하나의 묶음으로 구성될 경우 각각의 그림 및 표에 대하여 (a), (b), (c) 등의 기호를 넣고 설명을 붙인다.

1.4.7 그림, 표 및 수식의 언급방법
그림(사진), 표 및 수식을 본문에서 언급할 때에는 다음 예에서 나타낸 방법을 따른다. 예)
그림 1에서 얻어진 결과와 표 2(b)를 정리하여 나타내면 식 (3)과 같다.

1.4.8 참고문헌
본문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을 포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본문에서 인용되지 않은 문헌은 참고문헌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1) 참고문헌 정리순서
참고문헌은 어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 문헌의 정리순서는 국문, 중문, 일문, 영문, 독문, 불문, 기타의 순으로 한다. 국문문헌은 제 1저자 이름의 가나다 순으로, 영문문헌은 알파벳 순으로, 기타 해당 국가의 사전기록 순으로 정리한다. 저자가 3명 이상인 경우에도 유사한 방법으로 정리하며, 저자명이 일치하는 문헌들에 대하여는 출판년월이 이른 것부터 정리한다. 출판년월 또한 같은 경우에는 문헌 제목의 가나다(알파벳) 순으로 정리한다.

2) 참고문헌 표기방법
① 학술지 게재학회지: 저자, 출판년도, 학회지제목, 게재된 학술지명, 발행기관, 권, 호, 게재된 쪽
② 학술회의지 게재학회지: 저자, 출판년도, 학회지제목, 학술회의지명, 발행기관(또는 출판사) 출판지 또는 회의개최지(국외인 경우), (권), 게재된 쪽
③ 단행본 게재학회지 또는 저술: 저자, 출판년도, 학회지제목, 게재된 단행본명, 편집자(있는 경우), (권), 발행기관(또는 출판사), 출판지(국외인 경우), 게재된 쪽
④ 저서: 저자, 출판년도, 저서명, 출판사, 출판지(국외인 경우)
⑤ 학위학회지: 저자, 출판년도, 학회지제목, 학위종류, 학위 수여기관, 소재지(국외인 경우)
⑥ 보고서: 저자, 출판년도, 보고서 제목, 보고서 종류(번호), 연구기관, 소재지(국외인 경우)

이와 같이 문헌을 표기하는데 있어서 특히 다음의 사항에 유의한다.
①∼⑥의 사항 중 학술지명, 학술회의지명, 단행본명, 저서명, 학위학회지제목, 보고서제목은 국문의 경우 중고딕체로, 한문의 경우 중고딕 진하게로, 영문의 경우 Italic체로 하고, 그 밖의 모든 내용은 본문의 활자체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각 참고문헌은 아라비아 숫자로 번호를 붙여 작성한다.
문장부호, 띄어쓰기, 들여쓰기, 밑줄긋기, 영문이름의 표기 등은 “예”에 제시한 표기방법을 따른다.
저자가 복수일 경우에는 저자 이름들을 모두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연구보고서의 경우에는 연구책임자의 이름만을 사용하여 “신소재 등”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저자(들)의 이름 및 출판년도가 동일한 문헌들에 대해서는 “신소재(2010a)”와 같이 연도 뒤에 알파벳 소문자를 덧붙여 구분한다.
영문문헌의 제목은 첫 자만 대문자로 하고, 그 밖의 단어에 대해서는 고유명사, 약자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소문자로 표기한다. 학술지명, 학술회의 지명, 기관명, 출판사명 등은 관사 전치사, 접속사외의 모든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하며 약어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
김한국(2008) 복합재료 구조물의 특성, 대한출판사, 서울, pp.50-58.
홍길동, 김한국, 신소재(2008) 복합신소재 적층 면판을 갖는 경사 콘크리트 판의 자유진동에 미치는 비선형 전단변형 효과,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학회지, 제1권, 제1호, 2008, pp.1-8.
Hong, G.-D., Kim, H.-K., and Sin, S.-J. (2010) Nonlinear shear deformation effects on the free vibration of skew concrete plates with laminated composite face pla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Vol.1, No.1, pp.1-8.
Reddy, J.N. (2004) Mechanics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 and shells: theory and analysis, CRC press, New York, pp.25-35.